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사 : 고대의 경제[삼국시대, 통일신라, 발해]

by 바삭한 황태구이 2023. 3. 16.

★ 농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청동기 시대에 계급 형성

★ 삼국시대 - 귀족회의의 기능이 상당했던 국왕 중심 귀족 정치

★ 통일신라 - 전제왕권 확립

★ 경제 - 수취제도(세금): 토지, 공물, 노동력, 토지제도

1) 삼국의 경제 [귀족과 평민]

  a 경제정책

    ○ 정복지 수탈 및 공물 수취, 포로의 노비화, 군공자에게 식읍 지급

      ※ 식읍 : 토지+포로

    ○ 조세제도 : 재산정도에 따라 곡물과 포, 특산물 징수 노동력 동원(15세 이상)

    ○ 민생안정책 : 철제농기구 보급, 우경장려 등의 농업생산력 증대시책과 구휼정책 시행

    ○ 수공업 : 노비 동원, 점차 관청에 수공업자를 배정

    ○ 무역 

      - 고구려 : 남북조 및 북방민족 

      - 백제 : 남중국 및 왜 

      - 신라 : 한강유역진출 후 당항성(당으로 가는 항구)을 통해 중국과 교육

 

  b. 귀족의 경제생활 

    ○ 기반 : 자신이 소유한 토지와 노비, 국가로부터 받은 녹읍과 식읍, 전쟁을 통해 얻은 토지와 노비

    ○ 농민지배 : 고리대를 통해 농민의 토지를 빼앗거나 자기소유의 토지를 경작시킴

 

  c.  농민의 경제생활

    ○ 영농기술 : 휴경지 존재, 철제농기구 보급, 우경확대

    ○ 과도한 수취 : 국가와 귀족에게 농민의 토지를 빼앗거나 자기소유의 토지를 경작시킴

 

2) 통일신라 중대의 사회의 경제

  a. 왕권의 강화(=왕권 전제화)

    ○ 녹읍의 폐지 → 관료전 설치 → 녹읍 부활 [ 농민에게 정전 지급- 세금 걷어감 ]

    ○ 경주의 번영 : 상업의 발달, 도시 규모의 확대

 

  b. 농민들의 생활

    ○ 자연 촌락에 거주하면서 촌주를 통해 국가의 지배를 받음

    ○ 국가에서 민정문서를 정기적으로 작성하여 조세를 부과 : 촌락의 경제상황과 국가의 세무행정 파악

      ※ 조세(1/10), 공물(촌락단위 특산물), 역(군역과 요역)

◎ 민정문서
  - 3년마다 촌주가 작성 : 인구수, 토지, 가축 수, 과실나무 수 등 조사
  - 세금 징수를 위함

  c. 당과의 무역 활동이 활발해짐

    ○ 귀족생활과 관련이 있는 비단, 장식품, 책 등이 수입, 금·은 세공품 등이 수출

    ○ 경주 인근의 울산항이 국제 무역항으로 성장, 경주에 서시와 남시 설치

    ○ 당으로의 활발한 진출 : 산둥과 양쯔강 유역에 신라방이 생겨남

    ○ 장보고의 청해진 : 남해와 황해의 해상권 장악 → 당, 일본과의 무역 독점

3) 통일신라 하대의 변화

  a. 녹읍의 부활, 사원의 면세 토지 증가로 국가경제의 악화

  b. 6두품 세력의 정치 개혁 요구 → 점차 반신라적 태도를 취하게 됨

  c. 호족 세력의 성장 : 광대한 토지와 백성을 지배하면서 지방의 징세권과 군사권 장악

4) 발해의 경제

  a. 지배층 : 고구려 계통(대씨, 고씨)의 귀족 → 중요 관직 차지, 대토지 소유, 당의 제도와 문화 수용

    ※ 빈공과(당나라에서 외국인이 보는 시험-최치원) 응시, 신라와 수석 경쟁, 당의 비단과 서적을 수입, 화려한 생활

  b. 피지배층 : 말갈족(촌락민으로 생활) - 조세, 공물, 부역의 의무

  c. 경제생활

    ○ 농업 : 기후 조건의 한계로 밭농사 중심, 철제 농기구 사용, 일부지역 벼농사

    ○ 목축(솔빈부의 말), 어업, 수공업, 상업 발달

    ○ 당, 신라, 거란, 일본과 무역

 

★ 토지 관련 이야기 ★
◎ 국왕 둥심의 중앙 집권적인 귀족정치가 성립됨에 따라 모든 국토는 왕토라는 사상이 나오게 되었다.
◎ 전쟁에 공이 있는 장군이나 귀족들에게는 녹읍의 명목으로 많은 토지를 주었고, ...
◎ 관리에게 관료전이라는 토지를 주는 한편 귀족들의 녹읍을 폐지하였다. 그리고 일반 백성에게도 정전을 주어 경작하게 하고 국가에 조를 바치게 하였다
◎ 녹읍[귀족 관료의 봉급] vs 식읍[공신, 행사 등 보너스]

 

♥ 지금까지 삼국시대, 통일신라, 발해의 경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_<

 

2023.03.13 - [STUDY in HOME/한국사] - 한국사 : 흔들리는 조선 사회, 지배층의 대응은?

 

한국사 : 흔들리는 조선 사회, 지배층의 대응은?

⭐️ 흔들리는 왕조 체제 유지를 위한 지배층의 움직임 / 탕평책과 세도 정치 / 정조의 개혁정치 실패 ⭐️ 1) 지배 체제 유지를 위한 양반 계층의 대처 a. 비변사의 기능 강화 : 임진왜란 이후 국

bassa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