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2

한국사 : 흔들리는 조선 사회, 지배층의 대응은? ⭐️ 흔들리는 왕조 체제 유지를 위한 지배층의 움직임 / 탕평책과 세도 정치 / 정조의 개혁정치 실패 ⭐️ 1) 지배 체제 유지를 위한 양반 계층의 대처 a. 비변사의 기능 강화 : 임진왜란 이후 국정 전반 담당 최고회의 기구 👉 의정부와 6조 약화[왕권 약화] ※ 비변사는 삼포왜란 때 임시국방기구에서 상설기구로 자리잡고 국정 전반 회의 기구가 되었다. b. 이조전랑의 권한 확대, 3사의 기능 변질 : 자기 세력 확대에 이용 c. 붕당정치의 변질 : 집권 붕당이 상대를 철저히 탄압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나타남] 👉 공론에 의한 정치가 실종되고, 소수 가문이 정권을 독점함 d. 붕당정치의 운영과 정치 구조의 변화 : 비변사의 기능 강화 👉 문무의 고위 관료들이 국가의 중요 정책을 합의하여 처리 [왕권 약.. 2023. 3. 13.
한국사 : 조선 통치체제의 정비 - 중앙정치, 지방행정 ★ 조선시대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한 중앙 정치 제도 알아보기 ★ 1) 중앙 정치 조직 a. 의정부(국정총괄)와 6조(정책집행) 중심 b. 왕권과 신권의 조화 - 간쟁권을 가진 언관 : 3사 [ 사헌부(감찰), 사간원(간쟁), 홍문관(자문) ] - 국왕 직속 기관 : 승정원, 의금부 c. 유교 이념에 바탕을 둔 정치 지향 - 홍문관[정책 개발], 춘추관[역사 연구], 한성부[서울 치안], 경연제도 ◎ 행정의 기능적 분화와 통일성의 조화 : 의정부와 6조 - 의정부 :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고 일반 정사를 처리하며 이치에 맞게 나라를 운영하는 기구 - 6조 (1) 이조 : 문관의 선발 등 인사, 고과 관련 정사 (2) 호조 : 호구와 공납 및 부세와 조세와 경제 관계의 정사(국세파악, 세금 징수) (3) 예..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