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들리는 왕조 체제 유지를 위한 지배층의 움직임 / 탕평책과 세도 정치 / 정조의 개혁정치 실패 ⭐️
1) 지배 체제 유지를 위한 양반 계층의 대처
a. 비변사의 기능 강화 : 임진왜란 이후 국정 전반 담당 최고회의 기구 👉 의정부와 6조 약화[왕권 약화]
※ 비변사는 삼포왜란 때 임시국방기구에서 상설기구로 자리잡고 국정 전반 회의 기구가 되었다.
b. 이조전랑의 권한 확대, 3사의 기능 변질 : 자기 세력 확대에 이용
c. 붕당정치의 변질 : 집권 붕당이 상대를 철저히 탄압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나타남] 👉 공론에 의한 정치가 실종되고, 소수 가문이 정권을 독점함
d. 붕당정치의 운영과 정치 구조의 변화 : 비변사의 기능 강화 👉 문무의 고위 관료들이 국가의 중요 정책을 합의하여 처리 [왕권 약화]
2) 새로운 군사 제도의 마련 : 5군영과 속오군
a. 조선 전기 : 자영농을 바탕으로 한 양인 개병제+진관체제 👉 16세기 이후 방군수포제(군대 대신 포를 납부) 실시+제승방략 체제(관군의 무력화)
b. 군역제도의 개혁 : 5병제(직업군인)로의 전환이 대대적으로 추진됨
c. 새로운 군사 조직
- 중앙군 : 서울, 경기도 방어 - 훈련도감(3수병-포수, 사수, 살수),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 등 5군영 설치 👉 서인의 군사 기반
- 지방군 : 여러 신분층으로 구성된 향촌 방어부대 신설 👉 속오군
3) 붕당정치의 전개 [붕당 변질 과정]
a. 선조 : 초기 동인이 주도 → 정여립의 모반사건을 계기로 남북으로 분당 / 남인이 정국 주도
b. 광해군 : 북인 집권,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외교 → 인조반정으로 몰락
c. 인조 : 서인 집권, 남인 참여 → 상호비판적인 공존
d. 현종 : 예송으로 서인과 남인의 대립 → 1차 예송에서 서인 승리 / 2차 예송에서 남인 승리
4) 탕평론의 대두 [왕권 강화 목적]
a. 배경 : 붕당 간의 극단적인 대결과 일단 전제화 경향 → 왕권이 불안해짐
b. 탕평의 뜻 : 붕당간의 정치적 균형을 확보한다.
c. 탕평론의 대두 : 왕권강화라는 관점에서 국왕에 의해 주도 → 숙종 때 처음으로 제기(서인의 일당 전제화 추세)
5) 영조의 탕평책
a. 탕평교서를 발표 : 노론과 소론을 조정, 탕평파를 육성하여 정국을 주도하게 함. 산림의 존재 부정, 서월 정리, 이조전랑의 권한 약화
※ 산림 : 공론을 형성하는 붕당의 대표(붕당의 짱)
b. 정치 안정 : 균역법 실시, 문물제도 정비, 사형수에 대한 삼심제
c. 탕평책의 한계 : 붕당의 존재를 인정한 전제 위에 실시 → 노론 세력이 점차 강화
6) 정조의 개혁과 탕평책
a. 노론, 소론, 남인 참여 → 탕평[당별 고루 참여]
b. 장용영(친위부대), 규장각(집현전과 비슷한, 학문연구 기관), 초계문신제(신진관료를 재교육시켜 왕의 편에 설 수 있게 함), 화성축조, 수령의 권한 강화 → 왕권강화 시도
7) 세도정치의 전개[탕평책 실패]
a. 세도 정치 : 정조가 죽은 후 왕실 외척 가문이 국정을 독점한 비정상적인 정치
b. 견제 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정권의 부도덕성이 드러남 → 관리들의 부정과 비리(수령이 행촌에서 절대적 권력 행사(ex> 변학도), 매관매직, 부정수탈) → 농민 저항(김경래의 난, 진주농민의 난)
8) 조선후기 대외관계
a. 청 : 17세기 북벌론
- 백두산 정계비(1712) : 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 → 간도 문제
※ 토문강을 두만강으로 볼 것이냐, 송화강으로 볼 것이냐! ▶ 간도가 우리나라 땅이냐, 중국 땅이냐!
b. 일본 : 기유약조(1609)로 부산에 왜관 설치
- 통신사 파견 : 쇼군의 지위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일본이 요청, 조선의 선진문화 일본 전파
지금까지 조선시대 혼돈의 시기에 어떻게 지배체제 유지를 위해 노력했는지를 알아봤습니다.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_^
2023.03.08 - [STUDY in HOME/한국사] - 한국사 :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와 양난(임진, 병자)
한국사 :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와 양난(임진, 병자)
★ 임진왜란의 전개과정 / 왜란이 조선 정치사상에 남긴 영향 / 광해군의 중립외교 / 임진왜란 이후 ★ 1)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사대교린] 당시의 동아시아 : 명(1368-1644), 여진족(부족 단위로 할
bassak.tistory.com
'STUDY in HOME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 근세의 경제 [조선 전기] (0) | 2023.03.23 |
---|---|
한국사 : 중세의 경제 [고려] (0) | 2023.03.18 |
한국사 :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와 양난(임진, 병자) (0) | 2023.03.08 |
한국사 : [조선시대]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0) | 2023.03.06 |
한국사 : 조선 통치체제의 정비 - 중앙정치, 지방행정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