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통치제제1 한국사 : 조선 통치체제의 정비 - 중앙정치, 지방행정 ★ 조선시대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한 중앙 정치 제도 알아보기 ★ 1) 중앙 정치 조직 a. 의정부(국정총괄)와 6조(정책집행) 중심 b. 왕권과 신권의 조화 - 간쟁권을 가진 언관 : 3사 [ 사헌부(감찰), 사간원(간쟁), 홍문관(자문) ] - 국왕 직속 기관 : 승정원, 의금부 c. 유교 이념에 바탕을 둔 정치 지향 - 홍문관[정책 개발], 춘추관[역사 연구], 한성부[서울 치안], 경연제도 ◎ 행정의 기능적 분화와 통일성의 조화 : 의정부와 6조 - 의정부 :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고 일반 정사를 처리하며 이치에 맞게 나라를 운영하는 기구 - 6조 (1) 이조 : 문관의 선발 등 인사, 고과 관련 정사 (2) 호조 : 호구와 공납 및 부세와 조세와 경제 관계의 정사(국세파악, 세금 징수) (3) 예.. 2023. 3.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