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6 한국사 : 중세의 경제 [고려] ★ 전시과제도의 특징 / 농민이 부담하던 조세의 종류 / 고려시대 농업의 발달 ★ 1) 토지제도 [전시과] a. 관리가 되면 녹봉(월급) 이외에 토지를 지급받음 b. 전시과 제도 : 관직이나 직역을 담당한 사람들에게 농토(전지)와 임야(시지)를 차등 지급 ○ 토지 자체를 지급한 것이 아니라 수조권을 지급 ※ 수조권 : 조세를 걷을 수 있는 권리 ○ 중요한 토지 항목 - 과전 : 관직 복무의 대가 - 공음전 : 5품 이상 관리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세습 가능 - 한인전 : 6품 이하의 하급 관리 자제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일종의 품위유지비 - 구분전 : 하급관리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 군인전 : 군역의 대가로 세습 가능 - 내장전(왕실 소유), 공해전(관청 소유), 사원전(절 소유) 등 c. 변천 : 역.. 2023. 3. 18. 한국사 : 고려시대 대외 관계의 변화 ★ 북진 정책 / 친송 정책 / 몽고 침략에 대한 항쟁과 굴복, 자주성의 회복 과정 ★ 1) 고려 전기의 동아시아 a. 중국에서 한족의 송(남송)과 요, 거란이 서로 대립 b. "고려-송(남송)-요(금_"이 국제적 균형을 이룸 2) 거란의 침입과 격퇴 - 고려와 거란, 송의 관계(10~11세기) a. 세 차례에 걸친 거란의 침입과 격퇴 - 1차 침입 → 서희의 외교담판 → 강동6주 개척, 송과의 외교단절 약속 ※ 고려 침입 이유 : 신라를 이어받았다고 하면서 땅은 더 차지하고, 정책은 친송이라서 - 2차(개경함락, 양규의 활약), 3차(강감찬의 귀주대첩) 등으로 거란 격퇴 → 거란과 국교 수립 - 거란의 침략에 대한 대비 : 개경에 나성(외곽에 추가) 건설, 천리장성 건설(압록강~도련포) ※ 고려 · 송.. 2023. 2. 26. 한국사 :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고려 문벌 귀족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을 주요 사건 중심으로 알아보기 ⭐️ 1) 고려 사회의 성격 : 문벌 귀족 중심의 사회 - 과거와 음서를 통한 관직 세습, 공음전(5품 이상/세습가능), 과전, 불법적인 토지 확대로 경제력 독점, 중첩된 혼인 관계와 왕실과의 혼인 지향 👉 문벌 귀족 출신과 신진 관료 사이의 대립, 민중 생활의 악화 ※ 잠깐 미리 이야기로 정리하자 '이자겸의 난'으로 문벌 귀족 사회가 잠시 흔들린다. 그 후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이 일어나는데, 묘청의 자주적이고 개혁적인 주장을 왕이 이행하려고 하자 문벌 귀족이 강하게 비판하여 묘청의 혁신 정치 계획이 실패하게 된다. 이에 묘청을 중심으로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키게 되지만 김부식에 의해 진압되고 실패한다. 그 후 문벌귀족은 잠깐 그 .. 2023. 2. 25. 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Ⅱ ★ 고려의 정치구조, 정치이념, 지방제도 알아보기 Ⅱ ★ 1) 중앙 정치 조직 a. 당(3성 6부제), 송(중추원, 삼사)의 제도 + 고려의 특성(도병마사, 식목도감) b. 중서문하성(최고 관서로 국정 총괄)에서 국가의 중요 정책을 의논하여 결정하고 이를 6부에서 집행함 c. 중추원에서 국가의 기밀 사무, 왕명의 출납을 담당 d. 귀족들에게 정치권력이 독점됨: 중서문하성(재신)과 중추원(추밀)의 2품 이상 관리에게 권력이 집중 → 도병마사와 식목도감 ※ 2품: 재신, 추밀 / 3품: 낭사, 승선 e. 대간: 중서문하성 낭사와 어사대 관리로 구성 - 간쟁(왕의 잘못 지적), 봉박(왕의 부당한 명령 거부), 서경(하급관리 임명 동의, 법령 개폐 동의) ○ 중서문하성 : 최고 관서,국가 중요정책 심의, 국정 .. 2023. 2. 2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