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한국사

한국사 : 고려시대 대외 관계의 변화

by 바삭한 황태구이 2023. 2. 26.

★ 북진 정책 / 친송 정책 / 몽고 침략에 대한 항쟁과 굴복, 자주성의 회복 과정 ★

 

1) 고려 전기의 동아시아

  a. 중국에서 한족의 송(남송)과 요, 거란이 서로 대립

  b. "고려-송(남송)-요(금_"이 국제적 균형을 이룸

 

2) 거란의 침입과 격퇴 - 고려와 거란, 송의 관계(10~11세기)

  a. 세 차례에 걸친 거란의 침입과 격퇴

    - 1차 침입 → 서희의 외교담판 → 강동6주 개척, 송과의 외교단절 약속

※ 고려 침입 이유 : 신라를 이어받았다고 하면서 땅은 더 차지하고, 정책은 친송이라서

    - 2차(개경함락, 양규의 활약), 3차(강감찬의 귀주대첩) 등으로 거란 격퇴 → 거란과 국교 수립

    - 거란의 침략에 대한 대비 : 개경에 나성(외곽에 추가) 건설, 천리장성 건설(압록강~도련포)

※ 고려 · 송 · 거란의 세력균형 유지 

  b. 고려와 송 : 친송정책(선진문물 수용)

    - 송은 고려와 동맹하여 북방민족과 대결 시도

    - 고려는 송과의 교류를 통해 문화적, 경제적 실리 추구 → 송과의 무역 활발 → 벽란도가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번성(개경 근처)

○ 서희의 외교담판
  - 거란의 장수 소손녕이 말하길 "그대 나라는 신라에서 일어났소. 고구려 땅은 다 우리 거란의 소유인데 어찌하여 그대 나라가 침범하였는가? 또 우리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데도 바다를 건너 송을 섬기고 있는 까닭에 이번에 정벌하게 된 것이니 만일 땅을 떼어 바치고 사신을 보내 서로 교류하게 된다면 무사할 수 있을 것이오."

이 말을 듣고 서희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나라가 고구려의 옛 땅에서 일어난 나라요, ... 영토의 경계로 한다면 그대 나라의 동경이 모두 우리 땅이거늘 어떻게 침범했다는 말을 할 수 있겠는가. ... 양국이 교류하지 못하는 것은 바로 여진의 탓이다. 만일 여진을 내쫓고 우리의 옛 땅을 되찾은 다음에 성을 쌓고 도로를 만들게 되면 어찌 친선 관계가 맥어지지 않으리오

 

3) 여진정벌과 9성 개척(12세기)

  a. 12세기 초 여진족이 부족 통일 → 고려 국경까지 남하하여 충돌

  b. 동북 9성의 개척 : 윤관 등이 별무반을 조직하여 여진족을 정벌

    - 별무반 : 신기군(기병), 산보군(걸어서 잡는다), 항마군(승병)

  c. 금의 번성 : 동북 9성(천민, 죄수, 몰락인들이 많이 관리 및 통제가 어려움) 반환 → 금의 사대 요구를 수락(군신관계 요구)

    ※ 이자겸, 김부식 등은 정권 안정을 위해 사대 수락 → 이에 대한 반발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발생

 

4) 몽고와의 전쟁(13세기)

  a. 고려의 상황 : 최씨 무신 정권이 지속, 농민 항쟁 계속

  b. 몽고의 침략 : 6차례에 걸친 40여 년간 지속된 전쟁 → 과도한 공물 요구, 고려의 불만(몽고 사신 피살로 몽고가 쳐들어옴)

    ※ 몽고와의 전쟁 중 고려의 서울 구실을 한 곳은 "강화도"

  c. 침략에 맞선 항쟁 : 박서의 항쟁, 충주성 노비들의 승리(1차, 귀족들은 도망감), 처인성의 승리(2차, 김윤후 장군)

1. 귀주성의 농민들, 박서의 지위 아래 몽고군 격퇴(1231)
2. 강화도 천도, 개경에서 노예와 초적, 승려들의 반란(1232)
3. 충주성 전투에서 관노들이 몽고군을 격퇴(1253)
4. 다인철소의 백성들이 몽고군을 격파하여 그 공으로 다인철소가 익안형으로 승격(1255)
 ▶ 몽고의 항전 주체 : 평민과 천민

  d. 결과

    - 국토황폐화, 대장경(초조, 속장경)과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 팔만대장경은 남아있고, 황룡사 9층 목탑(왕권 상징)은 터가 남아있음

    - 몽고의 내정간섭 : 정동행성, 다루가치, 관계의 격하, 공녀 요구, 특산물 징발, 응방 설치

      ※ 정동행성 : 몽고가 일본 침입을 위해 우리나라 군대를 편성(몽고는 바다전쟁을 못하니까)

      

지금까지 고려시대 대외관계(거란, 송, 몽고) 및 그 과정 속 자주성 회복 노력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_<

 

[이전글 참조]

2023.02.25 - [STUDY in HOME/한국사] - 한국사 :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한국사 :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고려 문벌 귀족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을 주요 사건 중심으로 알아보기 ⭐️ 1) 고려 사회의 성격 : 문벌 귀족 중심의 사회 - 과거와 음서를 통한 관직 세습, 공음전(5품 이상/세습가능), 과전,

bassa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