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건국2

한국사 :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수도를 한양으로 ★조선 건국과정에서 신진사대부의 역할 / 조선 건국 관련 주요 사건 알아보기★ 1) 조선의 건국 a. 위화도 회군 : 요동 정벌에 반대하던 이성계 등이 군사를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 ※ 최영의 요동 정벌에 대한 이성계의 4불가론(고려말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 알 수 있음) b. 전제개혁 : (고려 말부터)과전법 실시 → 신진 관료에게 토지 지급, 농민의 경작권 보로 c. 이성계의 즉위 : 혁명파 사대부가 온건 사대부와 권문세족을 제압하고 새 왕조 개창 →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수도를 한양으로 정함 신진사대부 혁명파(승리) 고려왕조 부정 정도전 이방원-하여가 온건파 고려 유지-점진적 개혁 정몽주 정몽주-단심가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 2023. 2. 27.
한국사 :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 몽고 침략에 대한 항쟁과 굴복, 자주성의 회복 과정 / 원 간섭기 / 공민왕의 개혁 / 신진사대부의 성장 ★ 1) 원의 내정간섭 a. 계속된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음 → 무신정권의 붕괴 → 강화 성립 → 삼별초의 항쟁 ※ 삼별초 항쟁 : 강화도 → 진도 → 제주도 (대표적 장수 배중손) b. 강화 성립 이후 고려의 시련 : 원의 일본 정벌에 동원(정동행성, 결국 실패), 영토의 일부를 빼앗김 [동녕부(서경), 쌍성총관부(화주 근처), 탐라총관부(제주도)], 정치적 간섭을 받음(정동행성), 인적 · 물적 자원 수탈(공녀-조혼 풍습 등장, 공물) c. 고려 사회의 변화 : 친원적 세력들이 성장, 몽고식 풍습(몽고풍 / 변발 등 몽고식 머리, 옷 등)이 유행 ※ 고려양 : 고려풍습이 중국에 유행하는 것.. 2023.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