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기2

한국사 : 여러 나라의 성장 ★ 복습 ★ - 단군신화로 알 수 있는 고조선의 모습: 농경사회, 지배, 선민사상, 제정일치 - 8조법: 노동력 중시, 가부장적 사회, 사유재산, 계급분화 ※ 군장국가 → 연맹왕국(왕권▼) → 중앙집권국가(왕권▲) (1) 부여 a. 위치: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 b. 경제: 농경, 목축, 특산물(말, 주옥, 모피) c. 정치: 고구려, 백제 건국세력이 부여의 한 계통임 ○ 5부족 연맹왕국 : 가(加)는 저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4출도를 다스림 → 왕이 직접 통치하는 중앙과 합쳐 5부를 이룸 ※ 왕 - 마가, 우가, 저가, 구가 - 대사자, 사자 ○ 가(加) : 왕 추대, 흉년 책임을 왕에게 물음 → 왕권 미약(왕이 나온 대표 부족: 세력 강성) d. 풍속: 순장, 4조목의 법, 영고(12월, 제천행.. 2023. 2. 19.
한국사: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 복습 ★ - 한반도에 처음으로 사람이 시작한 때는 구석기 -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 시작, 정착생활 시작 (1) 청동기의 보급 a. 시기: 기원전 10세기 경, 만주지역과 한반도 전역 b. 경제: 석기-반달돌칼(이삭 따는 기구, 추수용) / 바퀴날 도끼 / 홈자귀(→ 보리, 콩, 벼농사) c. 사회 - 잉여(먹고 쓰고 남는 것) 발생, 사유재산, 빈부격차, 계급, 국가, 정복전쟁과 선민사상, 남녀 간의 계급적 분업 ※ 선민사상: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민족의 우월성 - 청동기(비파형 동검(무기) → 계급), 거친무늬 거울(제사 때 사용) ※ 청동은 귀하고 무르기 때문에 청동으로 만든 농기구는 없다. d. 유물 - 움집(신석기때와 달리 화로가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7~8명 거주 가능, 지상에 위치) ※ 신석..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