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과정에서 신진사대부의 역할 / 조선 건국 관련 주요 사건 알아보기★
1) 조선의 건국
a. 위화도 회군 : 요동 정벌에 반대하던 이성계 등이 군사를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
※ 최영의 요동 정벌에 대한 이성계의 4불가론(고려말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 알 수 있음)
b. 전제개혁 : (고려 말부터)과전법 실시 → 신진 관료에게 토지 지급, 농민의 경작권 보로
c. 이성계의 즉위 : 혁명파 사대부가 온건 사대부와 권문세족을 제압하고 새 왕조 개창 →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수도를 한양으로 정함
신진사대부 | 혁명파(승리) | 고려왕조 부정 | 정도전 | 이방원-하여가 |
온건파 | 고려 유지-점진적 개혁 | 정몽주 | 정몽주-단심가 |
<이방원 - 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정몽주 - 단심가>
이 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이시랴
d. 중앙 집권 체제 재정비, 실리 추구의 외교 관계 설정으로 정치 사회 안정 도모
※ 사대교린 정책(강경책과 회유책을 함께 사용)
◎ 조선 건국의 의의 : 근세 사회의 시작 - 유교 이념에 바탕을 둔 중앙 집권적 관료 정치 - 양인의 수가 늘어나고, 지위가 높아졌으며, 능력이 보다 중시됨 (향, 소, 부곡 사라지고 양천제[양민-천민]로 변화) ※ 고려의 상징은 귀족, 조선의 상징은 관료! ▶ 능력이 중요하다! |
2) 국왕 중심의 통치체제 정비 과정
a. 태조 : 국호제정(조선), 한양 천도
b. 정도전 : 민본적 통치 이념 마련, 재상중심의 정치 주장, 불교 비판, 성리학을 정치 이념으로 여김
※ 정도전 曰 "불씨(부처님을 옆집 아저씨처럼 부름) 잡변"이라 낮춰 봄
c. 태종
- 왕권 강화 : 왕자의 난으로 개국공신 축출, 도평의사사 폐지, 6조직계제, 사간원(왕에 간쟁하는 기관)을 독립시켜 대신 견제(국왕 중심의 통치체제 정비)
- 경제기반 · 군사력 강화 : 호패법[백성 통제를 위함-세금징수], 양전사업[토지 측량-세금 징수]과 호구[인구수-세금] 파악, 사원의 토지와 노비 몰수, 사병혁파[왕이 아닌 사람은 병사를 가질 수 없다-왕권 강화]
3) 유교정치의 실현(세종)
a. 유교정치 : 집현전을 통한 유교 정치 이상을 실현, 국토 확장(4군 6진), 의정부서사제, 국왕의 인사 및 군사권 장악
b. 민본정치 : 유능한 인재 발굴, 백성의 여론 존중
◎ 정도전의 조선 경국정의 일부 [군주는 천명의 대행자이지만, 천명 · 천심은 고정 불변한 것이 아니라 민심에 의해 바뀔 수도 있기 때문에, 만약 군주가 자기의 의무와 책임인 인정을 저버려 민심을 잃게 되면 천심, 천명이 바뀌고 천심, 천명이 바뀌면 군주는 교체될 수도 있다.] ☞ 군주가 하늘의 권뤼를 대행하는 사람으로서의 정통성과 신성한 권위를 갖는 존재라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 권위는 백성들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는 점을 아울러 전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도전은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삼아야한다는 "민본사상"과 임금이 덕으로서 다스려야 한다는 "덕치주의"사상을 바탕으로 한 유교 정치를 이상적인 정치로 여겼다. |
4) 문물제도의 정비
a. 세조 : 6조직계제, 집현전 폐지, 경연을 열지 않음(모여서 왕을 욕할까 걱정함), 경국대전 편찬 시작
b. 성종 : 홍문관(집현전 계승) 설치, 경연 참여의 폭 확대, 경국대전의 완성(통치방향과 이념 제시)
※ 경국대전 = 우리나라 최초의 성문 법전
지금까지 조선 건국과정과 그 과정 속 신진사대부의 역할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_^
[이전글 참조]
2023.02.26 - [STUDY in HOME/한국사] - 한국사 :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한국사 :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 몽고 침략에 대한 항쟁과 굴복, 자주성의 회복 과정 / 원 간섭기 / 공민왕의 개혁 / 신진사대부의 성장 ★ 1) 원의 내정간섭 a. 계속된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음 → 무신정권의 붕괴 → 강화
bassak.tistory.com
'STUDY in HOME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 [조선시대]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0) | 2023.03.06 |
---|---|
한국사 : 조선 통치체제의 정비 - 중앙정치, 지방행정 (0) | 2023.03.01 |
한국사 :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0) | 2023.02.26 |
한국사 : 고려시대 대외 관계의 변화 (0) | 2023.02.26 |
한국사 :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0) | 2023.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