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한국사

한국사 :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by 바삭한 황태구이 2023. 2. 25.

⭐️고려 문벌 귀족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을 주요 사건 중심으로 알아보기 ⭐️

 

1) 고려 사회의 성격 : 문벌 귀족 중심의 사회

  - 과거와 음서를 통한 관직 세습, 공음전(5품 이상/세습가능), 과전, 불법적인 토지 확대로 경제력 독점, 중첩된 혼인 관계와 왕실과의 혼인 지향 👉 문벌 귀족 출신과 신진 관료 사이의 대립, 민중 생활의 악화

※ 잠깐 미리 이야기로 정리하자

    '이자겸의 난'으로 문벌 귀족 사회가 잠시 흔들린다. 그 후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이 일어나는데, 묘청의 자주적이고 개혁적인 주장을 왕이 이행하려고 하자 문벌 귀족이 강하게 비판하여 묘청의 혁신 정치 계획이 실패하게 된다. 이에 묘청을 중심으로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키게 되지만 김부식에 의해 진압되고 실패한다. 그 후 문벌귀족은 잠깐 그 위세를 되찾게 되지만 무신정병을 통해 몰락하게 된다.

 

2) 이자겸의 난과 서경천도 운동

    a. 이자겸의 난(1126) : 최고의 문벌 귀족인 경원 이 씨 가문을 제거하려는 과정에서 이자겸이 난을 일으킴 → 문벌 귀족 사회 붕괴 촉진의 계기

    b.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묘청 등 서경파가 서경으로 천도하여 자주적인 혁신 정치 추진을 주장 : 개경파 귀족의 반대 → 서경에서 봉기(나라 이름 '대위국', '천개' - 김부식에 의해 진압 / 문벌 귀족체제 더욱 강화)

      ※ 칭제 건원, 금국 정벌, 서경 천도(북진 정책, 고구려 계슬) 등 자주적 성격

    - 성격: 문벌 귀족과 지방 세력의 대결, 유교 사상과 풍수지리설과 결부된 전통사상의 대결, 북진정책에 대한 이견과 갈등

      ※ 신채호가 말하길, 1천년 동안 제1대 사건은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이다.

 

개경파 : 김부식 / 유교 / 보수적, 합리적 / 신라 계승 / 금과 사대관계 유지
vs
서경파 : 묘청 / 풍수지리 / 자주적, 개혁적 / 고구려 계승 / 금국 정벌

 

3) 무신 정변과 민중들의 항쟁

  a. 무신정변

    - 배경 : 무신에 대한 차별, 의종의 실정, 군인전 미지급

    - 과정 : 정중부 등의 문신들을 죽이고 정권 장악 👉 군신들의 독재 정치.

       ※ 무신들간의 권력 쟁탈전(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최충헌)으로 사회 불안 계속

          * 이의민은 천민 출신으로 이의민에 의해 민중 항쟁(누구나 높아질 수 있다)에 영향을 미쳤다.

  b. 민중들의 항쟁 : 신분의 해방, 농민들에 대한 수탈 반대를 요구하며 항거 

      👉 망이 · 망소이, 만적의 난, 김사미와 효심

        * 최충헌의 노비인 만적이 말하길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없다" = 신분 해방

※ 무신정권의 집권자와 권력기구
연       도 :   1170  -   1179   -   1183     - 1196       - 1219
집  권  자: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 최우
권력 기구:   중방   -   도방   -    중방    - 교정도감 - 교정도감

4) 최씨 무신 독재 정치의 성립

  a. 최충헌 

    - 무신 경쟁자 제거, 민중 항쟁 진압으로 정권을 안정시키며 그의 후손들이 4대(60년간)를 거쳐 정권을 장악

    - [정치적-교정도감 / 경제적 - 식읍 / 군사적 - 도방과 삼별초]를 통해 권력 장악

     * 최우가 집권할 때 문신 등용

  b. 무신 정권의 권력 기구

    - 사병 : 도방(경호원)과 삼별초(야별초, 좌별초, 우별초)를 두어 군사력 향상

    - 교정도감 : 국정 총괄

    - 정방 : 인사, 행정(권력 높은 기구)

 

지금까지 고려시대 문벌귀족 사회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__^

 

[이전글 참조]

2023.02.23 - [분류 전체보기] - 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Ⅱ

 

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Ⅱ

★ 고려의 정치구조, 정치이념, 지방제도 알아보기 Ⅱ ★ 1) 중앙 정치 조직 a. 당(3성 6부제), 송(중추원, 삼사)의 제도 + 고려의 특성(도병마사, 식목도감) b. 중서문하성(최고 관서로 국정 총괄)에

bassa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