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한국사

한국사: 분열에서 통일로(후삼국 → 고려)

by 바삭한 황태구이 2023. 2. 22.

★ 후삼국으로의 분열에서 고려의 재통일 과정 알아보기 ★

 

1) 신라 말의 사회 변동과 호족세력의 성장

  a.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계속: 중앙의 지방 통제력 약화 ☞ 왕권 ▼

    ● 세력을 키운 지방세력: 토착 촌주, 몰락한 중앙귀족, 해상세력, 군진세력

  b.  정치의 부패, 지배 계급의 농민 수탈 → 농민 생활의 악화

  c.  사회 개혁 주장이 채택되지 못함(최치원 등) → 농민들의 봉기(농민 불만 ▲)

    ● 골품제의 한계

※ 귀족의 향락, 사치 ☞ 농민 수취 증가 ☞ 농민 불만 증가 ☞ 농민 봉기(도적, 유민..)

 

2) 후삼국, 그리고 재통일

  a.  제1단계: 호족 세력의 성장 → 성주, 장군이라 칭하며 많은 토지와 사병을 바탕으로 지방의 행정, 군사권을 장악

  b.  제 2단계: 후삼국의 성립 →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을 기치로 호족 세력 통합

    - 후백제: 견훤 ▷ 전라도와 충정도 일대로 세력 확대(군진 세력-장군)

    - 후고구려: 궁예 ▷ 철원, 송악을 중심으로 경기, 강원, 황해, 충청도 석권

  c. 제 3단계: 후백제와 고려의 결전

    - 고려의 건국: 왕건 → 적극적으로 호족 세력들을 포섭, 회유

    - 고려와 후백제의 대결: 안동 전투 이후 고려가 주도권 장악 → 후백제의 내분, 신라의 항복 → 고려의 후백제 통합

 

※ 왕건, 고려를 세우다 ※

1. 왕건은 조세를 경감하고 억울한 노비를 해방시켜 민심을 수습하였다.(취민유도)

2. 밖으로 중국 북부의 5대 여러나라와 수교해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3. 친신라정책과 호족을 회유 · 포섭하는 통일 정책(혼인, 사성, 역분전, 사심관 등)을 취하였다.

 

3) 고려 건국의 의의: 중세 사회의 성립

  a.  호족, 6두품 출신 등 새로운 정치 세력의 성장

  b. 유교 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질서 성립

  c. 중세 문화의 성립: 다양성 속의 통일성 → 지방 문화 발달, 유교+불교+다양한 외래문화

  d. 민족의식의 성장 → 북진 정책의 추진

 

★ 예습 - 왕권 강화를 위한 왕들의 노력 ★

 ○ 태조왕건: 3대 정책

    (1) 민생안정 - 취민유도, 흑창

    (2) 호족 통합 및 통제 - 사성제도, 혼인정책, 사심관제도, 기인제도

    (3) 북진정책: 서경 중시, 대동강~원산만 → 청천강~영흥

○ 광종: 노비안검법 - 호족의 군사권과 경제권 약화, 국가 재정 호전

○ 성종: 정치 조직 정비: 유교 이념(최승로 28조 포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