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습 ⭐️
- 청동기 시대에는 지배자-피지배자의 계급이 나타나기 시작
- 고조선의 세력범위와 일치하는 특징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거울,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1) 고조선의 건국
a.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최초의 국가 등장. 삼국유사에 따르면 기원전 2333년 단국 왕검에 의해 건국되었다.
(삼국유사, 제완운기, 동국여지승람 등)
단군신화가 전하는 건국기의 모습 :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국가 성립 👉 구릉지대에 거주하며 농경(구름, 비, 바람을 관장하는..)생활 👉 선민사상: 우세부족이 하늘의 자손이다.(하늘에서 내려와서..) 👉 여러 군장사회 통합, 지배계급 등장으로 새로운 사회 질서 성립 👉 제정일치(단군왕검)의 군장사회, 홍익인간 이념 |
b. 고조건의 발전: 요령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한반도 부근으로 발전
[비파형 동검,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등]
c. 대동당 유역으로 중심지 이동, 기원전 3세기경 부왕, 준왕 → 왕위 세습, 관직 설치(상, 대부 장군), 연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
※ 왕위 부자상속 : 왕권 강화 및 정치제도 발전
(2) 위만의 집권
a. 기원전 2세기 무렵 위만이 정권을 잡음
b. 철기문화를 본격적으로 받아들임: 세력확장, 중계무역(우리나라의 진-중국)을 통한 경제적 발전
c. 한의 침략을 받아 멸망 → 한의 군현 설치 →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소멸
(3) 고조선의 사회
a. 8조법
-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인다 : 노동력, 사람의 생명 중시
-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 : 노동력 중시
- 도둑질을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 사유재산의 성립, 계급 분화(→ 지배층을 위한 법)
- 부인들은 정숙하고 음란하지 않았다 : 가부장적 사회
b. 한 군현 설치 후 60여 조로 증가 → 복잡해짐
o 우리는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신화에서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을 추출해 볼 수 있다. 또한 한서(지리지)에 전하는 8조법에서 고조선의 사회를 알 수 있다.
1) 천하의 뜻을 두어 인간 세상에 내려가기를 원하였다 : 하늘의 자손, 부족/민족의 우월성, 선민사상
2) 바람, 비, 구름을 관장하는 자들을 거느리고, 360여가지의 일들을 주관하여 다스렸다
→ 농경사회, 지배계급의 등장
3) 곰과 호랑이가 나타나 → 토테미즘
4) 웅녀+환웅 = 단군왕검(조선) : 단군[제사장(종교)] + 왕검[왕(정치)] = 제정일치의 지배자
5) 통치이념: 홍익인간 =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다.
지금까지 고조선의 건국과정과 사회, 단군신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_<
2023.02.15 - [STUDY in HOME/한국사] - 한국사: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한국사: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 복습 ★ - 한반도에 처음으로 사람이 시작한 때는 구석기 -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 시작, 정착생활 시작 (1) 청동기의 보급 a. 시기: 기원전 10세기 경, 만주지역과 한반도 전역 b. 경제: 석기-반달
bassak.tistory.com
'STUDY in HOME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Ⅰ (0) | 2023.02.22 |
---|---|
한국사: 분열에서 통일로(후삼국 → 고려) (0) | 2023.02.22 |
한국사 : 여러 나라의 성장 (0) | 2023.02.19 |
한국사: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0) | 2023.02.15 |
한국사 : 선사 문화의 전개 (0) | 2023.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