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한국사

한국사: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by 바삭한 황태구이 2023. 2. 15.

★ 복습 ★

- 한반도에 처음으로 사람이 시작한 때는 구석기

-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 시작, 정착생활 시작

 

 

(1) 청동기의 보급

  a. 시기: 기원전 10세기 경, 만주지역과 한반도 전역

  b. 경제: 석기-반달돌칼(이삭 따는 기구, 추수용) / 바퀴날 도끼 / 홈자귀(→ 보리, 콩, 벼농사)

  c. 사회

    - 잉여(먹고 쓰고 남는 것) 발생, 사유재산, 빈부격차, 계급, 국가, 정복전쟁과 선민사상, 남녀 간의 계급적 분업

      ※ 선민사상: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민족의 우월성

    - 청동기(비파형 동검(무기) → 계급), 거친무늬 거울(제사 때 사용) 

      ※ 청동은 귀하고 무르기 때문에 청동으로 만든 농기구는 없다.

  d. 유물

    - 움집(신석기때와 달리 화로가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7~8명 거주 가능, 지상에 위치)

      ※ 신석기 시대 움집은 화로가 가운데에 있으며, 반지하에 위치, 4~5명 거주 가능

    - 산간이나 구릉지에 배산임수 마을(전쟁에 유리, 조개더미 없음)

  e. 지배자: 무덤-고인돌(한강 기준으로 북방식과 남방식), 돌널무덤, 돌무지무덤(지배층의 권력 상징)

  f. 토기: 민무늬토기, 미송리식 토기(평안도 의주 미송리에서 발굴됨, 허리가 잘록함)

  g. 특징: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거울,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 고조선 세력 범위와 일치

 

 

(2) 철기의 사용

  a. 시기: 기원전 4세기

  b. 경제

    - 철제농기구 사용으로 농업이 비약적으로 발전

    - 중국과 교류: 명도전(춘추시대 화폐), 반양전(진의 화폐), 오수전(한의 화폐) 발굴 

    - 의창 다호리 유적에서 철재 붓 발굴: 한자 사용

  c. 도구: 철기 사용, 청동기는 의식용(세형동검, 잔무늬 거울-거푸집으로 독자 제작)

    ※ 철기로 무기 생산(정복전쟁), 청동기 변형: 비파형 → 세형 / 거친무늬 → 잔무늬

  d. 토기: 민무늬 토기, 덧띠토기, 가지무늬 토기, 검은 간토기

  e. 바위그림: 울주 반구대(고기잡이, 사냥 그림), 고령 양전동(기하무늬 동심원=태양)

    ※ 사냥감의 번성, 고기잡이의 성공 등 풍성한 수확을 기원

  f. 특징: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틀) → 독자적인 한반도 청동기 문화

 

 

○ 사담: 10명이 농사를 지어 12인분을 생산했다. 어떻게 나눌 것인가? 인간은 1.1개로 나눴을까? 그럴리가 없었다. 힘이 센 1명이 3개를 가져갔다. 그렇게 권력자가 된 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은 식량으로 군대를 만들고, 약한 자를 굴복시켜 노예로 삼았다. 이렇게 사회는 지배자와 피지배자로 나누어졌다. 이를 '계급'이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