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려6

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Ⅰ ★ 고려의 정치구조, 정치이념, 지방제도 알아보기 Ⅰ★ 1) 중앙 정치 조직의 정비 a. 태조의 정책 ○ 민족의 재통합 : 고려 성립(918) 왕건, 국호 고려(고구려 계승의식) ○ 송악(개성)으로 천도, 신라 병합(→ 후백제 정발 → 민족 재통일(936)) ○ 3대 정책 - 민생안정 [취민유도 : 적당한 세금 징수, 흑창 : 빈민구제기구(후의 의창)] - 호족융합책 [정략결혼, 공신에게 역분전 지급(공로에 따라 토지 지급), 사성제도(성씨를 내림), 사심관제도(출신 지역을 책임지도록 함) 및 기인제도(지방 향리의 자제들은 수도로 오도록 함) 실시 ▶ 훈요10조] - 북진정책 [서경-평양 중시, 천청강~영흥만까지 북진] ▶훈요10조◀ 1조. 우리나라의 대업은 여러 부처님의 호위에 의한 것이므로 사원을 창.. 2023. 2. 22.
한국사: 분열에서 통일로(후삼국 → 고려) ★ 후삼국으로의 분열에서 고려의 재통일 과정 알아보기 ★ 1) 신라 말의 사회 변동과 호족세력의 성장 a.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계속: 중앙의 지방 통제력 약화 ☞ 왕권 ▼ ● 세력을 키운 지방세력: 토착 촌주, 몰락한 중앙귀족, 해상세력, 군진세력 b. 정치의 부패, 지배 계급의 농민 수탈 → 농민 생활의 악화 c. 사회 개혁 주장이 채택되지 못함(최치원 등) → 농민들의 봉기(농민 불만 ▲) ● 골품제의 한계 ※ 귀족의 향락, 사치 ☞ 농민 수취 증가 ☞ 농민 불만 증가 ☞ 농민 봉기(도적, 유민..) 2) 후삼국, 그리고 재통일 a. 제1단계: 호족 세력의 성장 → 성주, 장군이라 칭하며 많은 토지와 사병을 바탕으로 지방의 행정, 군사권을 장악 b. 제 2단계: 후삼국의 성립 → 백제와 고구려..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