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1 한국사 : [조선시대]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 사림, 사화, 붕당의 의미 / 사람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정치의 모습 알아보기 ★ 1) '사림'의 뜻 a. 사림(士林) : 관직에 나가지 않은 재야의 지식인들 👉 성종 때 이후 중앙 정계에 등장한 신진 관리를 가리킴 ※ 훈구(勳舊) : 오랫동안 조정에 있으며 공을 세운 사람들(개국공신) b. 사림 세력의 특징 : 성리학의 이상을 실현하는 정치 주장 - 왕도 정치, 향촌 자치, 민생 안정 강조 ※ 조광조의 개혁 정치 - 현량과 실시 : 왕도 정치 실현을 위한 새로운 인재 등용, 사림파 등용하기 위함 - 향약 보급 : 유교적 가치관의 생활화 - 공납제의 폐단 개혁, 소학, 위문삭제(거짓 공신의 이름 삭제) 등 훈구파(15세기) 사림파(16세기 이후) 학문 사장 중심(강경파, 관학파) 경학 중심(온건파, .. 2023. 3.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