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미디어

미디어 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Ⅱ

by 바삭한 황태구이 2023. 3. 7.

1) 왜 미디어 효과를 연구하는가?

  - 콜롬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 청소년 폭력의 원인은? mass media와 비디오 게임 비판

    ▶ 미디어가 편리한 희생양이 됨(실제 설문조사에서는 제한되지 않은 총기 급증이 원인)

    ▶ 우리는 어떻게 미디어의 폭력성이 폭력적 행동을 이끈다는 걸 연구해서 증명할 것인가

 

2) 일반적인 것과 다른 연구

  - Ways of knowing(지식을 얻는 방법)

    a. 경험(experience) →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

    ※ 경험주의, 예외가 있을 수 있다.

    b. 권위(authority)

    ※ 전문적인 지식으로 사람들이 쉽게 믿음, 가끔 실수가 있다

    EX> 의사들의 의견

    c. 연구(scirnce) = 경험+권위

    ※ 경험주의+논리 → 보다 정확한 관측 가능

    ▶ 이론, 논리적 근거를 중시하며 검증을 토대로 한다.

    ▶ 원리에 근거한 패턴을 발견 → 체계적 원칙에 따라 봤을 때 일정한 결과(패턴)의 일반화를 통해 예측이 가능해진다.

 

3) 연구의 목적

  - 예측(prediction) : 미래를 예측, 

  - 설명(explanation) : 가장 이상적인 목적으로, "왜 무언가가 이런 방식으로 일어나는가?"를 아는 것.

    ※ 통계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지만, 이유를 설명해주지 못한다. 설명은 더 자세하고 구체적인 것이 나타날 때까지 계속 압력을 받을 수 있다.

  - 이해(설명을 통한, understanding) : 주어진 현상에 대해 특정한, 연속적인 우발적인 사건을 아는 것.

    ※ 좋은 설명은 이해에 대한 감각을 제공하므로 설명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 조절(control) : 우리가 한 현상을 정확히 예측, 설명, 이해할 수 있을 때 그 현상을 잘 조절할 수 있다.

    EX> 시청등급 제한

 

4) 사회과학적 연구

  a. 목적 

    - 문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현상에 대해 설명 · 해석한다.

    - 일반적 패턴과 관계를 알아낸다.

    - 현상을 예측한다.

    - 위의 과정을 통해 일반화 또는 정교한 이론을 성립한다.

  b. 필요성

    - 과학적 이론은 현상을 묘사하기 위한 사실 기반의 틀이다.

    - 심리학에서 이론은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들을 이해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 과학적 이론은 수년간 실행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확립된 가정을 나타낸다.

  c.  특성

    - 체계적 · 객관적

    - 우발적 현상 이해를 위한 설명 제공을 위해 논리적이다.

    - 경험적이다(구조를 조작하고 가설을 테스트한다)

 

★ "안다"는 것은 우리의 삶을 편하게 해 준다. 이것이 일종의 미디어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왜냐면 우린 미디어를 통해 경험과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어떤 것에 노출이 되었을 때, 우리는 선입견이 생길 수 있다. 무의식 중에 지속적인 정보 습득에 의해 익숙해지면 자동적으로 그것이 진실이라고 믿게 되는 것이다.(그것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는 알 수 없어진다.)

 

◎ 어떤 콘텐츠를 접했을 때 수용자마다 해석은 다르다.
    - 이야기의 서사구조에 대한 이해도는 비슷하지만 캐릭터에 대한 이해는 다를 수 있다. 수용자는 능동적인 해석자로서 각기 다른 문화적 맥락, 각자 다른 지식, 경험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같은 영화를 보고도 여성과 남성이 해석과 공감이 다른 이유는 이런 차이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2023.02.27 - [STUDY in HOME/미디어] - 미디어 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Ⅰ

 

미디어 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Ⅰ

1) 미디어 이론 분야 - 비판적 접근 : 미디어의 실행 과정에 내재한 문제와 오류를 찾아내고자 한다. 특정한 가치에 기초하여 이를 사회적 이슈와 연결 ※ 이데올로기 심어줄 수 있다(대중매체에

bassak.tistory.com

 

'STUDY in HOME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Ⅰ  (0) 2023.0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