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1 한국사 : 흔들리는 조선 사회, 지배층의 대응은? ⭐️ 흔들리는 왕조 체제 유지를 위한 지배층의 움직임 / 탕평책과 세도 정치 / 정조의 개혁정치 실패 ⭐️ 1) 지배 체제 유지를 위한 양반 계층의 대처 a. 비변사의 기능 강화 : 임진왜란 이후 국정 전반 담당 최고회의 기구 👉 의정부와 6조 약화[왕권 약화] ※ 비변사는 삼포왜란 때 임시국방기구에서 상설기구로 자리잡고 국정 전반 회의 기구가 되었다. b. 이조전랑의 권한 확대, 3사의 기능 변질 : 자기 세력 확대에 이용 c. 붕당정치의 변질 : 집권 붕당이 상대를 철저히 탄압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나타남] 👉 공론에 의한 정치가 실종되고, 소수 가문이 정권을 독점함 d. 붕당정치의 운영과 정치 구조의 변화 : 비변사의 기능 강화 👉 문무의 고위 관료들이 국가의 중요 정책을 합의하여 처리 [왕권 약.. 2023.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