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 몽고 침략에 대한 항쟁과 굴복, 자주성의 회복 과정 / 원 간섭기 / 공민왕의 개혁 / 신진사대부의 성장 ★ 1) 원의 내정간섭 a. 계속된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음 → 무신정권의 붕괴 → 강화 성립 → 삼별초의 항쟁 ※ 삼별초 항쟁 : 강화도 → 진도 → 제주도 (대표적 장수 배중손) b. 강화 성립 이후 고려의 시련 : 원의 일본 정벌에 동원(정동행성, 결국 실패), 영토의 일부를 빼앗김 [동녕부(서경), 쌍성총관부(화주 근처), 탐라총관부(제주도)], 정치적 간섭을 받음(정동행성), 인적 · 물적 자원 수탈(공녀-조혼 풍습 등장, 공물) c. 고려 사회의 변화 : 친원적 세력들이 성장, 몽고식 풍습(몽고풍 / 변발 등 몽고식 머리, 옷 등)이 유행 ※ 고려양 : 고려풍습이 중국에 유행하는 것..
2023. 2. 26.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