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한국사18

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Ⅰ ★ 고려의 정치구조, 정치이념, 지방제도 알아보기 Ⅰ★ 1) 중앙 정치 조직의 정비 a. 태조의 정책 ○ 민족의 재통합 : 고려 성립(918) 왕건, 국호 고려(고구려 계승의식) ○ 송악(개성)으로 천도, 신라 병합(→ 후백제 정발 → 민족 재통일(936)) ○ 3대 정책 - 민생안정 [취민유도 : 적당한 세금 징수, 흑창 : 빈민구제기구(후의 의창)] - 호족융합책 [정략결혼, 공신에게 역분전 지급(공로에 따라 토지 지급), 사성제도(성씨를 내림), 사심관제도(출신 지역을 책임지도록 함) 및 기인제도(지방 향리의 자제들은 수도로 오도록 함) 실시 ▶ 훈요10조] - 북진정책 [서경-평양 중시, 천청강~영흥만까지 북진] ▶훈요10조◀ 1조. 우리나라의 대업은 여러 부처님의 호위에 의한 것이므로 사원을 창.. 2023. 2. 22.
한국사: 분열에서 통일로(후삼국 → 고려) ★ 후삼국으로의 분열에서 고려의 재통일 과정 알아보기 ★ 1) 신라 말의 사회 변동과 호족세력의 성장 a.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계속: 중앙의 지방 통제력 약화 ☞ 왕권 ▼ ● 세력을 키운 지방세력: 토착 촌주, 몰락한 중앙귀족, 해상세력, 군진세력 b. 정치의 부패, 지배 계급의 농민 수탈 → 농민 생활의 악화 c. 사회 개혁 주장이 채택되지 못함(최치원 등) → 농민들의 봉기(농민 불만 ▲) ● 골품제의 한계 ※ 귀족의 향락, 사치 ☞ 농민 수취 증가 ☞ 농민 불만 증가 ☞ 농민 봉기(도적, 유민..) 2) 후삼국, 그리고 재통일 a. 제1단계: 호족 세력의 성장 → 성주, 장군이라 칭하며 많은 토지와 사병을 바탕으로 지방의 행정, 군사권을 장악 b. 제 2단계: 후삼국의 성립 → 백제와 고구려.. 2023. 2. 22.
한국사 : 여러 나라의 성장 ★ 복습 ★ - 단군신화로 알 수 있는 고조선의 모습: 농경사회, 지배, 선민사상, 제정일치 - 8조법: 노동력 중시, 가부장적 사회, 사유재산, 계급분화 ※ 군장국가 → 연맹왕국(왕권▼) → 중앙집권국가(왕권▲) (1) 부여 a. 위치: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 b. 경제: 농경, 목축, 특산물(말, 주옥, 모피) c. 정치: 고구려, 백제 건국세력이 부여의 한 계통임 ○ 5부족 연맹왕국 : 가(加)는 저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4출도를 다스림 → 왕이 직접 통치하는 중앙과 합쳐 5부를 이룸 ※ 왕 - 마가, 우가, 저가, 구가 - 대사자, 사자 ○ 가(加) : 왕 추대, 흉년 책임을 왕에게 물음 → 왕권 미약(왕이 나온 대표 부족: 세력 강성) d. 풍속: 순장, 4조목의 법, 영고(12월, 제천행.. 2023. 2. 19.
한국사 : 고조선의 성립(첫 나라) ⭐️ 복습 ⭐️ - 청동기 시대에는 지배자-피지배자의 계급이 나타나기 시작 - 고조선의 세력범위와 일치하는 특징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거울,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1) 고조선의 건국 a.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최초의 국가 등장. 삼국유사에 따르면 기원전 2333년 단국 왕검에 의해 건국되었다. (삼국유사, 제완운기, 동국여지승람 등) 단군신화가 전하는 건국기의 모습 :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국가 성립 👉 구릉지대에 거주하며 농경(구름, 비, 바람을 관장하는..)생활 👉 선민사상: 우세부족이 하늘의 자손이다.(하늘에서 내려와서..) 👉 여러 군장사회 통합, 지배계급 등장으로 새로운 사회 질서 성립 👉 제정일치(단군왕검)의 군장사회, 홍익인간 이념 b. 고조건의 발전: 요령 지방을 중심으로.. 2023.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