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고려) : 정치 구조의 정비[중앙, 지방] Ⅰ
★ 고려의 정치구조, 정치이념, 지방제도 알아보기 Ⅰ★ 1) 중앙 정치 조직의 정비 a. 태조의 정책 ○ 민족의 재통합 : 고려 성립(918) 왕건, 국호 고려(고구려 계승의식) ○ 송악(개성)으로 천도, 신라 병합(→ 후백제 정발 → 민족 재통일(936)) ○ 3대 정책 - 민생안정 [취민유도 : 적당한 세금 징수, 흑창 : 빈민구제기구(후의 의창)] - 호족융합책 [정략결혼, 공신에게 역분전 지급(공로에 따라 토지 지급), 사성제도(성씨를 내림), 사심관제도(출신 지역을 책임지도록 함) 및 기인제도(지방 향리의 자제들은 수도로 오도록 함) 실시 ▶ 훈요10조] - 북진정책 [서경-평양 중시, 천청강~영흥만까지 북진] ▶훈요10조◀ 1조. 우리나라의 대업은 여러 부처님의 호위에 의한 것이므로 사원을 창..
2023. 2. 22.
한국사 : 여러 나라의 성장
★ 복습 ★ - 단군신화로 알 수 있는 고조선의 모습: 농경사회, 지배, 선민사상, 제정일치 - 8조법: 노동력 중시, 가부장적 사회, 사유재산, 계급분화 ※ 군장국가 → 연맹왕국(왕권▼) → 중앙집권국가(왕권▲) (1) 부여 a. 위치: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 b. 경제: 농경, 목축, 특산물(말, 주옥, 모피) c. 정치: 고구려, 백제 건국세력이 부여의 한 계통임 ○ 5부족 연맹왕국 : 가(加)는 저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4출도를 다스림 → 왕이 직접 통치하는 중앙과 합쳐 5부를 이룸 ※ 왕 - 마가, 우가, 저가, 구가 - 대사자, 사자 ○ 가(加) : 왕 추대, 흉년 책임을 왕에게 물음 → 왕권 미약(왕이 나온 대표 부족: 세력 강성) d. 풍속: 순장, 4조목의 법, 영고(12월, 제천행..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