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in HOME/한국사18

한국사 : 흔들리는 조선 사회, 지배층의 대응은? ⭐️ 흔들리는 왕조 체제 유지를 위한 지배층의 움직임 / 탕평책과 세도 정치 / 정조의 개혁정치 실패 ⭐️ 1) 지배 체제 유지를 위한 양반 계층의 대처 a. 비변사의 기능 강화 : 임진왜란 이후 국정 전반 담당 최고회의 기구 👉 의정부와 6조 약화[왕권 약화] ※ 비변사는 삼포왜란 때 임시국방기구에서 상설기구로 자리잡고 국정 전반 회의 기구가 되었다. b. 이조전랑의 권한 확대, 3사의 기능 변질 : 자기 세력 확대에 이용 c. 붕당정치의 변질 : 집권 붕당이 상대를 철저히 탄압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나타남] 👉 공론에 의한 정치가 실종되고, 소수 가문이 정권을 독점함 d. 붕당정치의 운영과 정치 구조의 변화 : 비변사의 기능 강화 👉 문무의 고위 관료들이 국가의 중요 정책을 합의하여 처리 [왕권 약.. 2023. 3. 13.
한국사 :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와 양난(임진, 병자) ★ 임진왜란의 전개과정 / 왜란이 조선 정치사상에 남긴 영향 / 광해군의 중립외교 / 임진왜란 이후 ★ 1)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사대교린] 당시의 동아시아 : 명(1368-1644), 여진족(부족 단위로 할거, 일부는 명의 지배), 일본(전국시대 - 제후들 사이의 대립) 명과의 관계 : 사대정책 [문화적 우월성을 인정 - 조공과 책봉 관계] 왜, 여진과의 관계 : 교린정책 [시끄럽게 하지 말라, 원하는 것을 줄 테니] 2) 16세기 중엽의 우리나라 a. 일본(3포 왜란)과 여진족이 국경 부근을 수시로 침략 → 비변사 설치 ※ 3포(부산, 울산, 진해) 왜란 : 일본의 더 많은 항구 개항 요구(개항거절로 인한 반란) ※ 비변사 : 여진족을 진압하기 위한 임시기구 b. 농민생활의 악화, 양인 개병제의 붕.. 2023. 3. 8.
한국사 : [조선시대]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 사림, 사화, 붕당의 의미 / 사람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정치의 모습 알아보기 ★ 1) '사림'의 뜻 a. 사림(士林) : 관직에 나가지 않은 재야의 지식인들 👉 성종 때 이후 중앙 정계에 등장한 신진 관리를 가리킴 ※ 훈구(勳舊) : 오랫동안 조정에 있으며 공을 세운 사람들(개국공신) b. 사림 세력의 특징 : 성리학의 이상을 실현하는 정치 주장 - 왕도 정치, 향촌 자치, 민생 안정 강조 ※ 조광조의 개혁 정치 - 현량과 실시 : 왕도 정치 실현을 위한 새로운 인재 등용, 사림파 등용하기 위함 - 향약 보급 : 유교적 가치관의 생활화 - 공납제의 폐단 개혁, 소학, 위문삭제(거짓 공신의 이름 삭제) 등 훈구파(15세기) 사림파(16세기 이후) 학문 사장 중심(강경파, 관학파) 경학 중심(온건파, .. 2023. 3. 6.
한국사 : 조선 통치체제의 정비 - 중앙정치, 지방행정 ★ 조선시대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한 중앙 정치 제도 알아보기 ★ 1) 중앙 정치 조직 a. 의정부(국정총괄)와 6조(정책집행) 중심 b. 왕권과 신권의 조화 - 간쟁권을 가진 언관 : 3사 [ 사헌부(감찰), 사간원(간쟁), 홍문관(자문) ] - 국왕 직속 기관 : 승정원, 의금부 c. 유교 이념에 바탕을 둔 정치 지향 - 홍문관[정책 개발], 춘추관[역사 연구], 한성부[서울 치안], 경연제도 ◎ 행정의 기능적 분화와 통일성의 조화 : 의정부와 6조 - 의정부 :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고 일반 정사를 처리하며 이치에 맞게 나라를 운영하는 기구 - 6조 (1) 이조 : 문관의 선발 등 인사, 고과 관련 정사 (2) 호조 : 호구와 공납 및 부세와 조세와 경제 관계의 정사(국세파악, 세금 징수) (3) 예..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