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한국사 : 중세의 경제 [고려] ★ 전시과제도의 특징 / 농민이 부담하던 조세의 종류 / 고려시대 농업의 발달 ★ 1) 토지제도 [전시과] a. 관리가 되면 녹봉(월급) 이외에 토지를 지급받음 b. 전시과 제도 : 관직이나 직역을 담당한 사람들에게 농토(전지)와 임야(시지)를 차등 지급 ○ 토지 자체를 지급한 것이 아니라 수조권을 지급 ※ 수조권 : 조세를 걷을 수 있는 권리 ○ 중요한 토지 항목 - 과전 : 관직 복무의 대가 - 공음전 : 5품 이상 관리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세습 가능 - 한인전 : 6품 이하의 하급 관리 자제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일종의 품위유지비 - 구분전 : 하급관리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 군인전 : 군역의 대가로 세습 가능 - 내장전(왕실 소유), 공해전(관청 소유), 사원전(절 소유) 등 c. 변천 : 역.. 2023. 3. 18.
한국사 : 고대의 경제[삼국시대, 통일신라, 발해] ★ 농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청동기 시대에 계급 형성 ★ 삼국시대 - 귀족회의의 기능이 상당했던 국왕 중심 귀족 정치 ★ 통일신라 - 전제왕권 확립 ★ 경제 - 수취제도(세금): 토지, 공물, 노동력, 토지제도 1) 삼국의 경제 [귀족과 평민] a 경제정책 ○ 정복지 수탈 및 공물 수취, 포로의 노비화, 군공자에게 식읍 지급 ※ 식읍 : 토지+포로 ○ 조세제도 : 재산정도에 따라 곡물과 포, 특산물 징수 노동력 동원(15세 이상) ○ 민생안정책 : 철제농기구 보급, 우경장려 등의 농업생산력 증대시책과 구휼정책 시행 ○ 수공업 : 노비 동원, 점차 관청에 수공업자를 배정 ○ 무역 - 고구려 : 남북조 및 북방민족 - 백제 : 남중국 및 왜 - 신라 : 한강유역진출 후 당항성(당으로 가는 항구)을 통해 중국.. 2023. 3. 16.
한국사 : 흔들리는 조선 사회, 지배층의 대응은? ⭐️ 흔들리는 왕조 체제 유지를 위한 지배층의 움직임 / 탕평책과 세도 정치 / 정조의 개혁정치 실패 ⭐️ 1) 지배 체제 유지를 위한 양반 계층의 대처 a. 비변사의 기능 강화 : 임진왜란 이후 국정 전반 담당 최고회의 기구 👉 의정부와 6조 약화[왕권 약화] ※ 비변사는 삼포왜란 때 임시국방기구에서 상설기구로 자리잡고 국정 전반 회의 기구가 되었다. b. 이조전랑의 권한 확대, 3사의 기능 변질 : 자기 세력 확대에 이용 c. 붕당정치의 변질 : 집권 붕당이 상대를 철저히 탄압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나타남] 👉 공론에 의한 정치가 실종되고, 소수 가문이 정권을 독점함 d. 붕당정치의 운영과 정치 구조의 변화 : 비변사의 기능 강화 👉 문무의 고위 관료들이 국가의 중요 정책을 합의하여 처리 [왕권 약.. 2023. 3. 13.
한국사 :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와 양난(임진, 병자) ★ 임진왜란의 전개과정 / 왜란이 조선 정치사상에 남긴 영향 / 광해군의 중립외교 / 임진왜란 이후 ★ 1)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사대교린] 당시의 동아시아 : 명(1368-1644), 여진족(부족 단위로 할거, 일부는 명의 지배), 일본(전국시대 - 제후들 사이의 대립) 명과의 관계 : 사대정책 [문화적 우월성을 인정 - 조공과 책봉 관계] 왜, 여진과의 관계 : 교린정책 [시끄럽게 하지 말라, 원하는 것을 줄 테니] 2) 16세기 중엽의 우리나라 a. 일본(3포 왜란)과 여진족이 국경 부근을 수시로 침략 → 비변사 설치 ※ 3포(부산, 울산, 진해) 왜란 : 일본의 더 많은 항구 개항 요구(개항거절로 인한 반란) ※ 비변사 : 여진족을 진압하기 위한 임시기구 b. 농민생활의 악화, 양인 개병제의 붕.. 2023. 3. 8.